조회 수 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테빈(1548~1620)네덜란드의 수학자·물리학자·기술자. 스테비누스라고도 불린다. 벨기에의 브뤼주 출생. 브뤼주 시청에 근무하였으며, 후에 네덜란드 군대의 경리부장이 되었다. 그의 과학적 연구는 여러 방면에 걸친 것이었으며, 문학적·군사적인 양면의 기술자로서도 활약하였고, 특히 축성(築城)기사로서의 명성은 매우 높았다. 1582년 이자 계산표의 서적을 출판하여, 상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얼마 후에 《10분의 1에 관하여:De Thiende》(1585)라는 소책자에서 소수(小數)의 계산에 관한 최초의 조직적인 해설을 하였다. 여기서 소수(십진 분수)의 표기법과 계산법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이것의 사용을 장려하여 계산술 진보에 이바지하였다. 다소 복잡한 이 표기법은 훗날 비에타에 의해서 개량되었는데, 그가 정부에 진언하였던 십진법에 의거한 화폐 및 도량형 제도는 프랑스 혁명에 이르러 겨우 실현되었다. 이러한 내용은 《응용 산술》이라는 저서에 간추려져 있다. 그의 최대의 공헌은 역학 분야의 업적으로서, 이른바 아르키메데스적인 정역학(靜力學)은 스테빈에 의하여 대성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균형의 원리》(86)에서는 고체의 정역학과 유체의 정역학이 다루어졌으며, 또한 도르래의 이론을 전개하여 가상(假想) 변위의 원리에 이르고 있다. 특히 영구 운동이 불가능한 것을 전제로 하여, 빗면에 관한 균형의 조건을 음미하였고, ‘힘의 평행사변형의 법칙’을 발견한 공적은 매우 크다. 이 밖에 정수압(靜水壓)에서 수압기(水壓機)의 가능성을 예상하였고, 부체(浮體)의 균형을 다루기도 하였다. 훗날 네덜란드의 수륙 영선(營繕) 최고 감독관의 지위에 올랐다.

?

  1.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란다우<Landau, Edmund>(1877.2.14~1938.2.19)

  2.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러셀<Russell, Bertrand Arthur William>(1872.5.18~1970.2.2)

  3.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몽주<Monge, Gaspard/Peluse, Comte de>(1746.5.10~1818.7.28)

  4.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볼테라<Volterra, Vito>(1860.5.3~1940.10.11)

  5.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비노그라도프<Vinogradov, Ivan Matveyevich>(1891.9.14~1983.3.20)

  6.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세베리<Severi, Francesco>(1879.4.13~1961.12.8)

  7. No Image 25Feb
    by 관리자
    2023/02/25 Views 30 

    스테빈<Stevin, Simon>(1548~1620)

  8.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위너<Wiener, Norbert>(1894.11.26~1964.3.18)

  9.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이선란(李善蘭/1810~1882)

  10.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진구소(秦九韶/?~?)

  11.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카발리에리<Cavalieri, Francesco Bonaventura>(1598~1647.11.30)

  12.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0 

    테일러<Taylor, Brook>(1685~1731)

  13. No Image 20Sep
    by
    2023/09/20 Views 30 

    Najdoskonalszy dziennik przy niecodziennymi nudeskami

  14.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미분귀신

  15.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그레고리<Gregory, James>(1638.11~1675.10)

  16.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뇌터<Noether, Amalie Emmy>(1882.3.23~I935.4.14)

  17.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뫼비우스<Mõbius, August Ferdinand>(1790.11.17~1868.9.26)

  18.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베르누이<Bernoulli, Johann>(1667.8.6~1748.1.1)

  19.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1 

    스토크스<Stokes, George Gabriel>(1819.8.13~1903.2.1)

  20. No Image 25Feb
    by
    2023/02/25 Views 32 

    르베그<Lebesgue, Henri-Leon>(1875.6.28~1941.7.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